생활문화

생활문화

올해 최고의 무대 예고 '미인', 4월 국립극장에서 만나요

 2024년 무용계는 스타 무용수 최호종, 전민철의 등장으로 대중의 관심을 사로잡았다. 이러한 열기를 이어 2025년 무용계는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풍성한 신작 라인업을 예고하며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한국 무용계의 아이돌' 최호종을 배출한 국립무용단은 현대무용과의 파격적인 협업을 통해 새로운 도약을 시도한다. 4월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선보이는 신작 '미인'은 무용 서바이벌 예능으로 유명세를 얻은 안무가 정보경과 연극 '맥베스'의 연출가 양정웅의 만남으로 화제를 모으고 있다. 

 

6월에는 에르메스, 나이키와 협업하며 예술성을 인정받은 현대 무용가 예효승의 신작 '파이브 바이브'를 통해 국립무용단 남성 무용수들의 역동적인 에너지를 선보일 예정이다.

 


국립현대무용단은 11월 세계적인 현대 무용가 윌리엄 포사이스의 대표작 'One flat thing, reproduced'를 국내 최초로 선보이며, 김보람, 이재영, 정철인 등 실력파 무용수 겸 안무가들이 참여하는 '우리는 움직일 수밖에 없었다'(5월,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도 주목할 만하다. '죽고 싶지 않아'로 안무 실력을 인정받은 류장현의 신작 '그래비티(Gravity)'(4월,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역시 기대를 모으는 작품이다.

 

발레 분야에서는 '제2의 김기민'으로 불리는 발레리노 전민철의 활약에 이어 묵직한 신작들이 관객들을 기다린다. 

 

와이즈발레단은 '갓: 세렝게티'(3월,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를 통해 신을 넘어서려는 인간의 욕망을 춤으로 표현한다. 

 

국립발레단은 강수진 예술감독에게 '브누아 드 라 당스'를 안겨준 존 노이마이어의 '카멜리아 레이디'(5월,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와 체코 대표 안무가 이르지 킬리안의 '킬리안 프로젝트'(6월, GS공연장)를 통해 세계적인 수준의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2025 푸른 뱀의 해, 한국민속촌에서 행운을 쓰윽!

의 전통을 재현하는 것을 넘어, 방문객들이 직접 참여하고 오감으로 즐기는 풍성한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 더욱 특별하다.밤하늘 밝히는 5m 달집의 장관, '달집태우기''새해가 쓰윽 복도 쓰윽' 행사의 백미는 2월 9일 오후 4시 30분, 민속마을 19호 앞 큰밭에서 펼쳐지는 '달집태우기'이다. 액운을 날리고 복을 기원하는 우리 고유의 풍습을 눈앞에서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다. 5m 크기의 거대한 달집에 불이 붙는 순간, 밤하늘을 붉게 물들이는 장관이 펼쳐지며 보는 이들의 마음속까지 뜨겁게 달구어 줄 예정이다. 활활 타오르는 달집을 바라보며 새해 소망을 빌어보자. 간절한 바람이 하늘에 닿아 이루어질지도 모른다.2025년, 푸른 뱀의 해가 선사하는 특별함'새해가 쓰윽 복도 쓰윽'은 2025년 '푸른 뱀의 해'를 맞아 더욱 특별한 프로그램들을 선보인다. '십이지신 뱀'이 새겨진 목판에 직접 한지를 찍어 세상에 단 하나뿐인 '세화'를 만들어 간직하는 특별 체험 '세화찍기'는 소중한 사람들에게 행운을 선물할 수 있는 기회이다. 또한 뱀과 관련된 신비로운 전설을 아름다운 영상으로 재현한 '일월의 사연' 전시는 관람객들을 흥미진진한 이야기 속으로 안내한다. 온 가족이 함께 즐기는 따스한 겨울 추억, '온돌체험'추운 겨울, 한국 전통 가옥의 백미인 따뜻한 온돌방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것은 어떨까? 민속촌 내 18개 가옥을 개방하여 진행되는 '온돌체험'은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뜨끈한 온돌방에 옹기종기 모여 앉아 윷놀이, 투호 등 다양한 전통놀이를 즐기다 보면 어느새 시간 가는 줄 모를 것이다. 가족, 연인과 함께 잊지 못할 따스한 겨울 추억을 만들어보자. 놓치면 후회할 풍성한 프로그램 한가득!'새해가 쓰윽 복도 쓰윽'에서는 이 외에도 조선시대 마을의 활기찬 설날 풍경을 그대로 재현한 흥미로운 프로그램들이 가득하다.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입구에 장승을 세우는 '장승혼례식', 한 해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볏가릿대 세우기', 그리고 봄을 맞이하는 흥선대원군의 이야기를 담은 '흥선생의 상사일(上巳日) 이야기'까지! 다채로운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여러분을 기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