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사회/복지

"사람은 떠났는데…" 재개발 현장에 남은 길고양이들

 서울 최대 재개발 단지인 용산구 한남3구역에서 새로운 형태의 '강제 이주'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번에는 사람이 아닌, 재개발 지역에 남겨진 400여 마리의 길고양이들이 그 주인공이다. 38만여㎡ 규모의 이 부지는 2026년 착공을 앞두고 있지만, 95% 이상의 주민들이 떠난 자리에 수백 마리의 길고양이들이 고립된 채 남겨져 있다.

 

케어테이커 구미애(62)씨와 이진희(42)씨를 비롯한 10여 명의 자원봉사자들은 매일같이 이곳을 찾아 고양이들을 돌보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활동은 단순한 먹이 공급이 아닌 생존을 위한 '구조 작전'의 성격을 띠고 있다. 철거 전까지 최대한 많은 고양이를 공사장 밖으로 이주시키기 위해, 급식소 위치를 점진적으로 이동시키는 전략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현재 서울에만 770여 곳, 전국적으로는 5,000여 곳이 넘는 재개발·재건축 구역이 존재한다. 문제는 영역동물인 고양이들이 살던 곳을 쉽게 떠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오히려 공사 소음이 발생하면 더 깊숙이 숨어들어 피해가 커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다행히 한남3구역의 경우, 서울시와 용산구청, 재개발조합이 케어테이커들과 협력하여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철거 시 물뿌리기를 통한 탈출 유도, 생태통로 확보, 공공급식소 20개소 지원 등 구체적인 대책이 마련됐다. 특히 115마리에 달하는 중성화 수술 지원은 개체 수 관리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예외적인 사례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재개발 현장에서는 법적 근거 부족으로 인해 체계적인 보호 활동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현재 정비구역 내 동물 보호를 위한 조례를 가진 곳은 서울시, 부산시, 경기도 정도에 불과하며, 이마저도 권고사항일 뿐 강제성이 없다.

 

동물권행동 카라의 김정아 활동가는 "재개발사업 초기부터 고양이들의 자연스러운 이주를 위한 계획이 필요하다"며 "급식소 설치, 중성화 수술, 생태통로 확보 등을 위한 예산 지원과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재개발 지역의 동물 보호는 더 이상 일부 봉사자들의 선의에만 맡길 수 없는 사회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설날에 뭐해? 하이원 '설프라이즈 페스타'에서 꿀잼 보장

텔에서 진행되는 '설프라이즈 페스타'가 바로 그것. 전통 공연부터 화려한 퍼포먼스, 특별 이벤트까지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어 설 연휴,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예정이다.흥겨운 명절 분위기를 한껏 고조시킬 퓨전 국악 공연이 준비되어 있다. 28일부터 30일까지 매일 2회씩 펼쳐지는 퓨전 국악 밴드 '알희'의 공연은 전통 국악에 현대적인 감각을 더해 남녀노소 누구나 즐겁게 감상할 수 있다. 여기에 하이원의 상징적인 미디어아트가 어우러진 '하이원 시그니처 미디어 공연' 또한 매일 2회씩 펼쳐져 화려한 볼거리를 선사한다.어린이들을 위한 특별한 시간도 마련된다. 신기한 마술과 풍선 아트가 결합된 '키즈 원더랜드' 공연은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진행되며, 28일부터 30일까지는 '매직 벌룬 쇼'가 이어져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한다.설날 당일인 29일에는 특별한 이벤트가 준비되어 있다. 바로 하이원 그랜드호텔의 베테랑 주방장들이 직접 차례상을 준비하는 '셰프의 차례상' 이벤트. 정성 가득한 차례상으로 잊지 못할 설날 아침을 선물한다.축제 분위기는 하이원리조트 곳곳에서 이어진다. 다음 달 2일까지 하이원 워터월드에서는 신나는 음악과 함께 즐기는 '버블 폼 파티'와 온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대형 윷놀이'가 펼쳐진다. 또한 하얀 설경으로 뒤덮인 스키장 마운틴베이스에서는 낭만 가득한 '눈밭 캠프파이어'가 진행되어 특별한 추억을 선사할 예정이다.하이원리조트 관계자는 "민족 최대 명절인 설을 맞아 하이원리조트를 찾는 고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고자 다채로운 행사를 마련했다"며 "하이원에서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행복한 설 연휴 보내시길 바란다"고 전했다.한편, '설프라이즈 페스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이원리조트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