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생활문화

"143억 뷰의 비결"… 2기로 돌아온 '나혼렙'이 K-콘텐츠 혁명 일으킨다!

 소년만화의 황금 공식은 무엇일까? 주인공이 처절한 시련을 겪는 초반부도, 최강자가 되어 군림하는 결말도 아닌, 바로 '성장의 순간'이다. 독자들은 주인공이 자신보다 약간 더 강한 상대와 맞서 싸우며 한계를 극복하고 성장하는 순간에 가장 큰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이러한 소년만화의 정석을 완벽하게 구현한 작품이 바로 지난 5일 2기 방영을 시작한 TV 애니메이션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 프롬 더 섀도'(이하 '나혼렙')이다.

 

'나혼렙' 2기는 1기의 느린 전개를 과감히 탈피하고, 주인공 성진우의 폭발적인 성장을 전면에 내세웠다. 1기에서 최약체 E급 헌터로 시작해 죽음의 문턱에서 특별한 능력을 얻게 된 성진우는, 2기에서 본격적으로 자신의 잠재력을 개화시키며 강력한 '그림자 군주'로 거듭난다. 특히 쓰러진 마수의 영혼을 자신의 그림자 군단으로 만드는 장면은 원작 웹툰의 명장면을 완벽하게 재현하며 팬들의 열광적인 호응을 이끌어냈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반응은 더욱 뜨겁다. 온라인 콘텐츠 순위 집계 사이트 플릭스패트롤에 따르면, '나혼렙' 애니메이션은 방영 직후 일본 아마존 프라임 TV쇼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넷플릭스에서도 필리핀 4위, 홍콩·몰디브·대만 5위, 그리고 인도네시아와 동남아시아 주요국에서 6위를 기록하며 폭발적인 인기를 증명했다.

 


이러한 성공은 우연이 아니다. '나혼렙'은 웹소설에서 시작해 웹툰으로 대성공을 거두며 글로벌 누적 조회수 143억 회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웠다. 이후 게임과 애니메이션으로 영역을 확장하면서도 연이은 성공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일본의 유명 애니메이션 제작사 A-1 픽처스가 제작을 맡았음에도 한국 IP로서의 정체성을 굳건히 지켰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체성 유지는 '나혼렙' 2기의 프리퀄 격인 극장판 '리어웨이크닝'이 일본보다 한국에서 하루 먼저 개봉된 것에서도 드러난다. 더욱 흥미로운 점은 일본어 더빙 버전 외에 글로벌 버전에서는 등장인물들의 한국식 이름을 그대로 사용했다는 것이다. 이는 카카오픽코마와 디앤씨미디어가 애니메이션 제작위원회에 참여한 영향이 크다.

 

'나혼렙'의 IP 홀더인 디앤씨미디어와 일본에서 처음 이 작품을 소개한 카카오픽코마의 협력은 단순한 비즈니스를 넘어선다. 카카오픽코마 측은 이를 "작품과 독자를 연결하는 새로운 방식의 확장"이라고 설명하며, 앞으로도 작품의 가치를 높이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임을 밝혔다.

 

세종대왕이 가장 아꼈던 아들, 광평대군의 비밀 600년 만에 공개

광평대군 탄신일을 기념해 오는 26일부터 다음 달 22일까지 밀알미술관에서 문화유산 특별전 '필경재가 간직한 600년, 광평대군과 그 후손들'을 개최한다고 밝혔다.광평대군은 세종대왕의 아들 중 특별한 존재였다. 그는 1425년 태어나 1436년 신씨와 혼인했으나, 불과 19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세종실록에는 광평대군의 죽음에 세종대왕이 깊이 슬퍼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광평대군은 죽기 전 1444년 아들 영순군을 얻었지만, 그해 세상을 떠나면서 부인 신씨는 이후 비구니가 되어 불교에 귀의한 것으로 전해진다.이번 전시의 가장 큰 의미는 강남구 수서동 궁마을에 위치한 고택 '필경재'에서 600여 년간 간직해온 문중의 유물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된다는 점이다. 조선 성종 때 건립된 필경재는 강남구에 위치한 유일한 종가 고택으로, 광평대군의 후손들이 대대로 가문의 유산을 보존하며 살아온 역사적 공간이다.전시는 광평대군과 그 후손들의 삶과 정신을 총 6부로 나누어 구성했다. '기억의 공간, 필경재', '광평대군과 신씨', '17세기 이후원과 후손', '17~18세기 초 이유와 후손', '18세기 이최중과 후손', '19세기 초~20세기 초 후손, 가문의 행적' 등 시대별 인물과 그 활동을 중심으로 조선왕실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이번에 공개되는 전시유물은 고문서, 교지, 초상화, 병풍, 도자기, 고가구 등 100여 점에 이른다. 모두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진귀한 문화유산으로, 조선왕실 연구에도 높은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특히 주목할 만한 유물로는 광평대군의 부인 신씨가 발원한 '묘법연화경'이 있다. 이는 남편을 일찍 잃고 비구니가 된 신씨의 슬픔과 신앙심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또한 지역 빈민 구휼기구에 대한 기록을 담은 '사창의', 사대부의 재산 상속 문제를 기록한 '화회문기', 과거 시험 급제자의 답안지 등도 함께 전시된다. 이들 유물은 조선시대 왕실 및 양반 가문의 생활과 문화, 사회제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필경재를 세운 정안부정공 이천수의 후손인 이병무 대표는 "선조들의 흔적을 한 점도 놓치지 않겠다는 사명감으로 사료를 수집하고 보존해왔다"고 밝혔다. 이는 한 가문이 60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조상의 유산을 지켜온 노력과 정성을 보여주는 증언이다.조성명 강남구청장은 "한 가문이 지켜온 기록유산은 국가의 역사이자 지역의 자산"이라며 "뜻깊은 유산을 공개해준 필경재에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조선왕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회가 될 뿐만 아니라, 강남구의 숨겨진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특별전은 단순한 유물 전시를 넘어, 600년 전 세종대왕의 아들과 그 후손들이 이어온 삶의 궤적을 따라가는 시간 여행이자, 우리 역사의 소중한 한 페이지를 복원하는 의미 있는 행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