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사회/복지

65세 이상이 1000만 명?, 대한민국을 뒤흔들 6가지 메가톤급 변화

 2024년, 대한민국이 마침내 초고령사회의 문턱을 넘어섰다. 지난해 12월 기준 65세 이상 인구가 1024만 명을 돌파하며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인구구조 변화는 시니어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변화의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시니어 케어 전문기업 케어닥이 발표한 2025년 시니어 산업 전망 'G.R.A.N.D.S' 보고서는 앞으로 다가올 6가지 핵심 변화를 예고했다. 특히 시니어 하우징 시장이 급격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에는 3개 단지, 1461세대 규모의 시니어 레지던스가 새롭게 문을 열 예정이며, 정부의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외국계 자본까지 유입될 것으로 보인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금융권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들은 전 세대 중 가장 높은 순자산을 보유한 집단으로, 하나금융과 신영증권 등 주요 금융사들은 앞다투어 시니어 특화 금융상품을 출시하며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장기요양보험 제도도 큰 변화를 맞이한다. 2025년부터 수가 인상과 재가서비스 이용 한도 확대가 시행되며, 만성적인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 간병인력 도입도 적극 추진된다. 기존 H-2, F-4 비자 소지자로 제한되던 취업 비자 요건도 대폭 완화될 전망이다.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전문성과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의 차별화도 본격화된다. 특히 주거, 금융, 케어 서비스를 아우르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복지 일자리에 대한 관심도 증가할 전망이다. 고령인구 증가로 인한 복지 수요 확대로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등 전문 인력이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노노케어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관련 교육 프로그램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케어닥 박재병 대표는 "2025년은 국내 시니어 산업이 질적 도약을 이루는 원년이 될 것"이라며, "전문성을 바탕으로 시장 혁신을 주도하고 시니어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2025 푸른 뱀의 해, 한국민속촌에서 행운을 쓰윽!

의 전통을 재현하는 것을 넘어, 방문객들이 직접 참여하고 오감으로 즐기는 풍성한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 더욱 특별하다.밤하늘 밝히는 5m 달집의 장관, '달집태우기''새해가 쓰윽 복도 쓰윽' 행사의 백미는 2월 9일 오후 4시 30분, 민속마을 19호 앞 큰밭에서 펼쳐지는 '달집태우기'이다. 액운을 날리고 복을 기원하는 우리 고유의 풍습을 눈앞에서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다. 5m 크기의 거대한 달집에 불이 붙는 순간, 밤하늘을 붉게 물들이는 장관이 펼쳐지며 보는 이들의 마음속까지 뜨겁게 달구어 줄 예정이다. 활활 타오르는 달집을 바라보며 새해 소망을 빌어보자. 간절한 바람이 하늘에 닿아 이루어질지도 모른다.2025년, 푸른 뱀의 해가 선사하는 특별함'새해가 쓰윽 복도 쓰윽'은 2025년 '푸른 뱀의 해'를 맞아 더욱 특별한 프로그램들을 선보인다. '십이지신 뱀'이 새겨진 목판에 직접 한지를 찍어 세상에 단 하나뿐인 '세화'를 만들어 간직하는 특별 체험 '세화찍기'는 소중한 사람들에게 행운을 선물할 수 있는 기회이다. 또한 뱀과 관련된 신비로운 전설을 아름다운 영상으로 재현한 '일월의 사연' 전시는 관람객들을 흥미진진한 이야기 속으로 안내한다. 온 가족이 함께 즐기는 따스한 겨울 추억, '온돌체험'추운 겨울, 한국 전통 가옥의 백미인 따뜻한 온돌방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것은 어떨까? 민속촌 내 18개 가옥을 개방하여 진행되는 '온돌체험'은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뜨끈한 온돌방에 옹기종기 모여 앉아 윷놀이, 투호 등 다양한 전통놀이를 즐기다 보면 어느새 시간 가는 줄 모를 것이다. 가족, 연인과 함께 잊지 못할 따스한 겨울 추억을 만들어보자. 놓치면 후회할 풍성한 프로그램 한가득!'새해가 쓰윽 복도 쓰윽'에서는 이 외에도 조선시대 마을의 활기찬 설날 풍경을 그대로 재현한 흥미로운 프로그램들이 가득하다.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입구에 장승을 세우는 '장승혼례식', 한 해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볏가릿대 세우기', 그리고 봄을 맞이하는 흥선대원군의 이야기를 담은 '흥선생의 상사일(上巳日) 이야기'까지! 다채로운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여러분을 기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