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타임

스포츠타임

이기흥, 3선 실패 후 사라져.."체육계에 남긴 건 뒷끝뿐"

 대한체육회장 선거에서의 패배는 큰 충격을 안겨주었지만, 이기흥 전 회장이 남긴 말과는 상반된 행동이 체육계에 큰 아쉬움을 남겼다. 제42대 대한체육회장 선거가 진행된 지난 14일, 총 투표수 1209표 중 유승민 전 탁구협회장이 417표(34.5%)를 얻어 당선된 가운데, 이기흥 전 회장은 379표(31.3%)를 기록하며 3선 연임에 실패했다. 선거 전 이 회장은 체육회장 선거가 공정하고 화합의 장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패자와 승자가 서로를 존중하고 화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선거 결과 발표 직후, 그는 예상과는 달리 무대에 오르지 않고 결과 발표를 지켜보지도 않은 채 장내를 떠났다. 유승민 당선자는 이후 이 회장에게 연락을 통해 축하의 뜻을 전했으나, 이 회장의 태도는 체육계 안팎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이기흥 전 회장이 선거에 임하는 자세에서 화합을 강조했던 것과는 달리, 선거 후 그의 태도는 체육계에 실망감을 안겼다. 개표가 끝난 후 이 회장이 결과 발표 무대에 나타나지 않았고, 유승민 당선자가 이 전 회장에게 연락을 하여 뒤늦게 축하의 말을 전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반해, 선거 기간 동안 여러 의혹을 제기하며 경쟁을 벌였던 강신욱 단국대 명예 교수와 강태선 서울시체육회장은 진심으로 유승민 당선자를 축하하며 눈길을 끌었다. 강신욱 교수는 발표 무대에 올라 유승민 당선자와 악수를 나누며 축하를 전했고, 강태선 회장은 선거 직후 보도자료를 통해 “선거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며 유승민 신임 대한체육회장께 진심 어린 축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강 회장은 또한 유 당선자가 앞으로 대한민국 체육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어낼 것이라 믿는다며 성공적인 임기를 기원한다고 덧붙였다.

 

 

대한체육회장 선거에서의 패배는 큰 충격을 안겨주었지만, 이기흥 전 회장이 남긴 말과는 상반된 행동이 체육계에 큰 아쉬움을 남겼다. 제42대 대한체육회장 선거가 진행된 지난 14일, 총 투표수 1209표 중 유승민 전 탁구협회장이 417표(34.5%)를 얻어 당선된 가운데, 이기흥 전 회장은 379표(31.3%)를 기록하며 3선 연임에 실패했다. 선거 전 이 회장은 체육회장 선거가 공정하고 화합의 장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패자와 승자가 서로를 존중하고 화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선거 결과 발표 직후, 그는 예상과는 달리 무대에 오르지 않고 결과 발표를 지켜보지도 않은 채 장내를 떠났다. 유승민 당선자는 이후 이 회장에게 연락을 통해 축하의 뜻을 전했으나, 이 회장의 태도는 체육계 안팎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이기흥 전 회장이 선거에 임하는 자세에서 화합을 강조했던 것과는 달리, 선거 후 그의 태도는 체육계에 실망감을 안겼다. 개표가 끝난 후 이 회장이 결과 발표 무대에 나타나지 않았고, 유승민 당선자가 이 전 회장에게 연락을 하여 뒤늦게 축하의 말을 전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반해, 선거 기간 동안 여러 의혹을 제기하며 경쟁을 벌였던 강신욱 단국대 명예 교수와 강태선 서울시체육회장은 진심으로 유승민 당선자를 축하하며 눈길을 끌었다. 강신욱 교수는 발표 무대에 올라 유승민 당선자와 악수를 나누며 축하를 전했고, 강태선 회장은 선거 직후 보도자료를 통해 “선거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며 유승민 신임 대한체육회장께 진심 어린 축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강 회장은 또한 유 당선자가 앞으로 대한민국 체육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어낼 것이라 믿는다며 성공적인 임기를 기원한다고 덧붙였다.

 

 

이기흥 전 회장은 2016년 첫 통합체육회장에 당선되어 체육계뿐만 아니라 정치계, 종교계 등에서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며 8년간 임기를 수행했다. 그는 체육회 예산 증대 등을 이루어낸 성과를 남겼다. 그러나 그의 임기 동안 업무상 횡령, 배임, 채용 비리, 제3자 뇌물수수 등의 혐의로 수사를 받으며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직무 정지를 당한 그는 결국 체육계의 쇄신을 원하는 목소리에 따라 물러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전 회장이 이룬 성과와 체육계에 끼친 영향은 부정할 수 없다. 그가 추진한 많은 사업과 정책들은 ‘유승민호’가 계승하고 발전시켜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이기흥 전 회장의 마무리와 그의 태도에 대해 체육계에서는 아쉬운 마음이 커졌다. 그가 강조한 화합의 정신을 마지막까지 실천하지 못한 점은 체육계에 큰 실망을 안겨주었다. 다만 그가 남긴 공과는 여전히 존재하며, 후임 회장인 유승민 전 회장이 그 뒤를 이어 체육계를 이끌어나가야 할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체육계 내부에서는 그가 쌓아온 성과를 바탕으로 더욱 발전하고 변화하는 체육계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세종대왕이 가장 아꼈던 아들, 광평대군의 비밀 600년 만에 공개

광평대군 탄신일을 기념해 오는 26일부터 다음 달 22일까지 밀알미술관에서 문화유산 특별전 '필경재가 간직한 600년, 광평대군과 그 후손들'을 개최한다고 밝혔다.광평대군은 세종대왕의 아들 중 특별한 존재였다. 그는 1425년 태어나 1436년 신씨와 혼인했으나, 불과 19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세종실록에는 광평대군의 죽음에 세종대왕이 깊이 슬퍼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광평대군은 죽기 전 1444년 아들 영순군을 얻었지만, 그해 세상을 떠나면서 부인 신씨는 이후 비구니가 되어 불교에 귀의한 것으로 전해진다.이번 전시의 가장 큰 의미는 강남구 수서동 궁마을에 위치한 고택 '필경재'에서 600여 년간 간직해온 문중의 유물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된다는 점이다. 조선 성종 때 건립된 필경재는 강남구에 위치한 유일한 종가 고택으로, 광평대군의 후손들이 대대로 가문의 유산을 보존하며 살아온 역사적 공간이다.전시는 광평대군과 그 후손들의 삶과 정신을 총 6부로 나누어 구성했다. '기억의 공간, 필경재', '광평대군과 신씨', '17세기 이후원과 후손', '17~18세기 초 이유와 후손', '18세기 이최중과 후손', '19세기 초~20세기 초 후손, 가문의 행적' 등 시대별 인물과 그 활동을 중심으로 조선왕실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이번에 공개되는 전시유물은 고문서, 교지, 초상화, 병풍, 도자기, 고가구 등 100여 점에 이른다. 모두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진귀한 문화유산으로, 조선왕실 연구에도 높은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특히 주목할 만한 유물로는 광평대군의 부인 신씨가 발원한 '묘법연화경'이 있다. 이는 남편을 일찍 잃고 비구니가 된 신씨의 슬픔과 신앙심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또한 지역 빈민 구휼기구에 대한 기록을 담은 '사창의', 사대부의 재산 상속 문제를 기록한 '화회문기', 과거 시험 급제자의 답안지 등도 함께 전시된다. 이들 유물은 조선시대 왕실 및 양반 가문의 생활과 문화, 사회제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필경재를 세운 정안부정공 이천수의 후손인 이병무 대표는 "선조들의 흔적을 한 점도 놓치지 않겠다는 사명감으로 사료를 수집하고 보존해왔다"고 밝혔다. 이는 한 가문이 60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조상의 유산을 지켜온 노력과 정성을 보여주는 증언이다.조성명 강남구청장은 "한 가문이 지켜온 기록유산은 국가의 역사이자 지역의 자산"이라며 "뜻깊은 유산을 공개해준 필경재에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조선왕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회가 될 뿐만 아니라, 강남구의 숨겨진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특별전은 단순한 유물 전시를 넘어, 600년 전 세종대왕의 아들과 그 후손들이 이어온 삶의 궤적을 따라가는 시간 여행이자, 우리 역사의 소중한 한 페이지를 복원하는 의미 있는 행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