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2000건 폭동 옹호글"...도 넘은 '남초 커뮤니티' 실체
디지털 포렌식 전문가 김모씨는 "현재 디시인사이드와 일베 등 주요 커뮤니티에서 하루 평균 2000건 이상의 폭동 옹호 게시물이 올라오고 있다"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800% 증가한 수치"라고 밝혔다. 특히 '국민저항권' '애국 열사' 등의 키워드를 활용해 불법 폭력 행위를 정당화하는 시도가 두드러진다.
유튜브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구독자 50만 명 이상의 대형 보수 채널 10곳을 분석한 결과, 지난 일주일간 게시된 영상의 73%가 서부지법 사태를 다루고 있었으며, 이 중 82%가 폭력 행위를 정당화하거나 부정선거설을 언급했다. 한 유명 보수 유튜버는 생중계 당시 슈퍼챗(후원금)으로만 약 2,000만원을 벌어들인 것으로 확인됐다.
더욱 우려되는 것은 증거 인멸 시도다. 극우성향 단체들은 조직적으로 폭력 현장을 담은 영상들의 삭제를 요구하고 있다. 한 단체 대표는 회원들에게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 있는 영상은 즉시 내려야 한다"며 "경찰이 먼저 도발했다는 프레임을 만들어야 한다"는 지침을 하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플랫폼 기업들의 무책임한 태도도 도마 위에 올랐다. 유튜브의 경우 폭력을 조장하는 내용임에도 광고 수익 창출을 허용하고 있으며, 주요 커뮤니티 사이트들은 허위정보가 포함된 게시물을 메인 페이지에 노출시키고 있다.
미국의 의회 난입 사태 때와 비교하면 한국 플랫폼들의 대응은 매우 미온적이다. 미국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계정이 즉각 정지되고 관련 커뮤니티가 폐쇄되는 등 강경 대응이 이뤄졌다. 반면 한국의 플랫폼들은 "표현의 자유"를 내세우며 사실상 방관하는 모습이다.
사이버수사대 관계자는 "현재 수사 중인 폭력 사태 관련 온라인 게시물이 약 3만 건에 달한다"며 "하지만 플랫폼 기업들의 비협조로 수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정부 차원의 강력한 규제와 함께 플랫폼 기업들의 자정 노력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