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억 AI 대박 터진 뉴욕증시, 사흘 연속 상승
넷플릭스는 예상 외의 실적 발표로 주가가 급등했다. 4분기 매출은 102억47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6% 증가했고, 순이익은 18억6900만 달러로 주당 순이익은 4.27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넷플릭스는 글로벌 유료 가입자 수가 3억 명을 돌파했다고 발표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 이를 기점으로 넷플릭스 관련 주가도 상승세를 타며, JP모건과 모건스탠리는 넷플릭스의 목표 주가를 각각 115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AI 관련 초대형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도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스타게이트는 최소 5000억 달러 규모의 AI 프로젝트로, 오픈AI, 오라클, 소프트뱅크가 공동으로 투자하며,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도 협력사로 참여한다. 이 발표 이후 오라클 주가는 6.75%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도 각각 4.40%, 4.12% 상승했다. 또한, 오클로와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강세를 보였다.
그러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 머스크는 소프트뱅크의 자금이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하며, 이에 대한 신뢰도를 낮추는 발언을 했다. 또한, 테슬라는 트럼프 행정부의 전기차 정책 폐지로 인해 주가가 2.11% 하락하며 415.1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적인 경제 정책으로 중국, 멕시코, 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를 예고했으며, 러시아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그는 트루스소셜 계정에서 러시아와 전쟁에 참여한 나라들에 대해 높은 수준의 세금과 제재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P&G는 시장 전망을 웃도는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주가가 2% 상승했고, 찰스슈왑도 예상보다 나은 실적을 발표했으나 주가는 1% 하락했다. 한편, 구글은 AI 스타트업 앤트로픽에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기로 발표하며, AI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 확대를 암시했다.
미국의 금리 동결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1월 금리 동결 확률은 99.5%로 유지되었고, 3월까지 금리 동결 확률도 75.6%로 증가했다. 변동성 지수는 전날보다 0.27% 상승한 15.10을 기록했다.
종합적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정책과 AI 프로젝트에 대한 기대감, 넷플릭스의 실적 호조 등은 뉴욕 증시의 상승을 이끌었으며, 금리 동결과 안정적인 경제 상황이 증시의 강세를 뒷받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