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타임

스포츠타임

NBA 최대 스캔들, 돈치치, 댈러스의 위선에 분노 폭발

미국프로농구(NBA)에서 루카 돈치치(26)와 앤서니 데이비스(32)의 트레이드 후폭풍이 거세다. 댈러스 매버릭스가 선택한 이 트레이드는 많은 이들의 예상을 벗어난 결정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 돈치치의 아버지인 사샤 돈치치가 댈러스 구단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쏟아내 주목을 끌었다.

 

미국 스포츠 매체 ESPN에 따르면, 사샤 돈치치는 슬로베니아 매체 아레나 스포츠1와의 인터뷰에서 “비밀주의와 위선이 상처를 주었다”며 “아들은 결코 이런 대우를 받아서는 안 된다”라고 댈러스 구단을 비난했다. 사샤 돈치치는 구단의 트레이드 방식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출하며, 아들이 댈러스에서 경험한 대우가 부당했다고 주장했다.

 

돈치치는 2일 앤서니 데이비스와 함께 유니폼을 바꿔 입으며 댈러스를 떠났다. 이 트레이드는 올-NBA 팀 소속의 엘리트 선수가 서로 트레이드된 최초의 사례로 기록되었으며, 그 충격파는 매우 컸다. 특히 20대 중반의 슈퍼스타 돈치치를 트레이드한 댈러스의 결정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트레이드가 댈러스의 제안으로 성사되었다는 사실은 더욱 큰 후폭풍을 일으켰다.

 

댈러스는 트레이드의 이유로 수비 강화와 우승을 목표로 한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니코 해리슨 댈러스 단장은 "우리는 올-디펜시브 센터인 데이비스를 영입해 우승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댈러스가 돈치치의 몸 상태에 대한 의구심을 품고, 그의 체중 문제와 비시즌 준비 상태가 트레이드의 결정적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돈치치는 종아리 부상으로 올 시즌 22경기에만 출전했다.

 

 

하지만 사샤 돈치치는 아들의 컨디션에 문제가 없었다며 “돈치치는 매 경기 2~3명의 수비수를 뚫으며 40분 이상을 뛰었다. 그가 준비되지 않았다는 주장은 불공평하다”고 반박했다. 또한 그는 “선수를 트레이드했다면 그 결정을 인정해야지, 변명은 하지 말아야 한다”라고 꼬집었다.

 

댈러스 팬들의 반발은 더욱 거세다.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앞에는 ‘RIP 댈러스’와 ‘NBA 역사상 최악의 트레이드’라는 문구가 적힌 팻말들이 등장했다. 일부 팬들은 구단의 장례식을 치르는 듯한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댈러스 구단의 선택에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돈치치는 3일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댈러스 팬들에게 감사를 표했다. 그는 "7년 전, 최고 수준의 농구를 하겠다는 꿈을 이루기 위해 댈러스에 왔다"며 “팬들이 주신 사랑과 응원은 상상 이상이었다. 슬로베니아에서 온 어린 소년이 북 텍사스를 집처럼 느끼게 해줬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댈러스 지역 커뮤니티와 함께 일한 경험에도 감사하며, "내 농구 여정의 다음 단계를 시작하면서, 나는 항상 내 집처럼 느껴질 댈러스를 떠난다"고 덧붙였다.

 

돈치치는 댈러스에서의 7시즌 동안 422경기에서 평균 28.6점, 8.7리바운드, 8.3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팀의 중심으로 활약했다. 이번 트레이드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특히 댈러스 팬들과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24시간도 모자란다는 '이곳', '24시 여행지'로 폭발 중

6년 대비 93.5% 수준의 회복률이다. 하지만 부산의 경우 이러한 추세를 뛰어넘는 성과를 거두며 외래 관광 시장의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지난해 부산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는 약 292만 9000명으로, 이는 코로나 직전인 2019년 268만 8000명을 넘어서는 108.9%의 초과 회복률이다.특히 주목할 점은 부산을 방문한 외국인 중 대만인이 50만 명으로 가장 많았고, 일본 관광객 45만 6000명을 제치며 1위를 차지했다는 사실이다. 부산의 관광 인기는 올해도 지속되고 있으며, 2024년 5월까지 약 138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부산을 방문해 연말까지 330만~35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이 같은 부산의 관광 인기 요인 중 하나는 야간 관광 콘텐츠의 활성화다. ‘24시간 부산’이라는 이미지가 확산되며 세계적인 여행 정보 사이트 ‘트립어드바이저’의 여행 만족도 분석에서 부산은 동북아 8개 도시 중 도쿄와 상하이를 제치고 2위를 차지했다. CNN과 뉴욕타임스가 선정한 ‘아름다운 해변 도시 5곳’에도 이름을 올리는 등 글로벌 주목도 또한 상승세다.부산 방문 외국인 관광객의 패턴도 과거와는 달라지고 있다. 이전에는 BIFF광장, 해운대 등 정형화된 명소 위주로 움직였다면, 최근에는 현지인들의 일상을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가 인기를 끌고 있다. SNS와 블로그를 통해 소개된 ‘민락수변공원 야간 산책’, ‘송도해상케이블카 야간 탑승’, ‘바 크롤’, ‘사직야구장 야간 경기 관람’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사직야구장의 KBO 경기 관람은 색다른 문화 체험으로 자리 잡았다. 광안리 일대의 야간 콘텐츠 활성화도 눈에 띈다. ‘M드론라이트쇼’의 상설 운영 이후 광안대교 일대의 상권이 살아나면서, 해운대 중심이던 야간관광의 축이 광안리로 이동하고 있다. ‘별바다부산 원도심 나이트 미션투어’는 참여자 만족도 4.94/5점을 기록하며 화제를 모았고, 다대포해수욕장의 ‘나이트 뮤직 캠크닉 앤 트래블쇼’, 화명생태공원의 ‘나이트 마켓’ 등은 로컬 명소를 야간 관광지로 탈바꿈시키는 데 성공했다.부산은 서면, 해운대, 광안리, 남포동뿐 아니라 다대포, 화명동, 사직동 등 도시 전역에서 야간 관광이 가능한 ‘다중 거점형 야간관광 도시’로서의 강점을 지닌다. 이와 함께 안전한 심야 대중교통망과 외국인 맞춤형 서비스인 ‘비짓부산패스’, ‘위챗페이’ 연동 등 관광 편의성도 크게 개선됐다.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부산시는 2025년 ‘별바다부산 나이트 페스타’를 전역 축제로 확대해 개최할 계획이다. 7월부터 4개월간 이어지는 이번 축제에서는 기존 콘텐츠를 한층 강화해 글로벌 야간관광 도시로서의 정체성을 더욱 공고히 할 방침이다.올해 여름 휴가철에도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부산 원도심의 로컬 감성을 바탕으로 하는 ‘나이트 미션투어’와 ‘근현대역사관 키즈투어’, 국립부산과학관과의 협업 프로그램인 ‘사이언스 앤 매직 키즈밤놀이터’ 및 ‘가족과학캠프’ 등이다. ‘리버 디너 크루즈’는 대표 야간 콘텐츠로 자리 잡으며 가족 단위 여행객은 물론 외국인 개별 관광객들에게도 큰 호응을 얻고 있다.부산은 단순한 휴양지를 넘어, 밤에도 살아있는 입체적인 관광 도시로 진화하고 있다. 야간이라는 시간을 새로운 기회로 전환한 전략은 국내외 관광객의 발길을 끌어당기며 ‘부산 관광’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