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Global

美 계란값 한달새 15%↑..'에그플래이션' 역대 최고

미국에서 조류 인플루엔자(AI)의 확산으로 계란 가격이 급등하면서 ‘에그플래이션(eggflation)’이 다시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에그플래이션’이란 계란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계란 가격 상승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최근 발표된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와 미 노동부 소비자물가 통계에 따르면, 12개 들이 A등급 대란 계란의 평균 소매가격은 1월에 4.95달러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15.2% 급등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가격이 무려 53% 상승한 수치다. 

 

이번 가격 급등은 2023년 1월의 4.82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한 것이다. 1월의 계란 가격 상승률은 월간 기준으로 2015년 6월 이후 가장 높았으며, 미국 가정 내 식품 물가 상승분의 약 3분의 2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 노동부는 이번 상승이 주로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에 의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미 농무부는 1천320만 마리의 산란계를 살처분했으며, 올해 1월에도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다. 

 

계란 가격 상승은 단순히 소매 가격에 그치지 않고, 일부 지역에서는 계란 품귀 현상까지 발생했다. 일반 식료품 매장에서는 계란이 일시적으로 부족해지기도 했으며, 식당 프랜차이즈인 와플하우스는 3일부터 계란이 포함된 메뉴에 50센트(약 700원)의 추가 요금을 부과하기 시작했다. 더욱 충격적인 사건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에서 발생했다. 한 수송 트럭이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트럭 안에는 수천 개의 계란이 실려 있었으며, 이를 도난당한 것. 이러한 계란 가격 급등은 미국 소비자들에게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더하고 있으며, 미국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우려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 미국 노동부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에너지 및 식품 가격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3%대 상승률은 지난해 6월 이후 7개월 만에 처음으로 나타난 수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예상을 웃돌면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하를 사실상 중단할 것이라는 전망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금융 시장에서는 연준이 금리를 동결하거나 금리를 인하한다고 해도 횟수가 한 차례에 그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에서 오는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까지 연준이 기준금리를 현 4.25∼4.50%로 동결할 확률은 28%로 나타났으며, 4.00∼4.25%로 한 차례 인하할 확률은 40%로 반영됐다. 또한, 2025년 연내에는 금리를 동결하거나 한 차례 인하만 이뤄질 확률이 68%로, 하루 전의 57%에서 상승했다. 

 

알리안츠그룹의 모하메드 엘-에리언 고문은 최근 발표된 인플레이션 지표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엑스(X·옛 트위터)에서 "인플레이션이 연준이 시그널을 통해 시사해왔던 기대 수준을 넘어섰을 뿐만 아니라, 더욱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고 분석하며, "이러한 지표는 다른 경제 지표들과도 일치하며, 연준이 만약 2% 물가상승률 목표 달성에 진정으로 전념하고 있다면 시장 참여자들은 금리 인하 연기를 논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잠재적인 금리 인상을 논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처럼 계란 가격 급등과 인플레이션 상승은 미국 경제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 물가와 연준의 금리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또한, 계란 가격 상승은 일시적인 공급 문제를 넘어, 식품 가격의 전반적인 상승을 불러올 수 있어, 향후 소비자들의 물가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발렌타인데이에 혼행 가자!

인데이가 꼭 연인들만의 날이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혼자만의 시간을 통해 재충전을 하거나 새로운 인연을 기대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진 것으로 보인다.글로벌 숙박 공유 플랫폼 에어비앤비에 따르면, 올해 발렌타인데이 주간(2월 14일~16일) 1인 여행객의 검색량은 전년 동기 대비 무려 100% 이상 급증했다. 반면 같은 기간 커플 여행객은 50%, 가족 여행객은 70% 증가하는 데 그쳐 1인 여행객 증가세가 두드러졌다.특히 한국인의 경우 1인 여행객 검색량은 64% 증가한 반면, 2인 여행객 검색량은 32% 증가에 머물러 '나홀로 여행' 트렌드를  뒷받침했다.전문가들은 혼행 증가 이유로 2030 세대를 중심으로 혼자만의 시간을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해진 점을 꼽는다. 여행 스타일이 맞지 않아 갈등을 겪거나, 상대방에게 맞추느라 지치기보다는 자신만의 속도와 취향에 맞춰 자유롭게 여행을 즐기려는 욕구가 커졌다는 분석이다.실제로 혼행족들은 빡빡한 여행 일정보다는 여유롭게 휴식을 취하거나, 현지 문화를 깊이 있게 경험할 수 있는 여행을 선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혼자만의 시간을 통해 사색하고 재충전하며, 새로운 취미를 발견하거나 자기 계발에 집중하는 모습도 눈에 띈다.물론 낯선 곳에서의 설렘 가득한 만남, '자만추(자연스러운 만남 추구)'를 기대하는 솔로 여행객들도 있다. 실제로 햇살과 해변을 만끽할 수 있는 여행지에 대한 1인 여행객들의 검색량이 높게 나타났다. 혼행을 통해 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인간관계를 넓히고,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고 싶어하는 욕구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에어비앤비는 발렌타인데이를 맞아 혼행족, 커플, 가족 등 여행객 유형별 맞춤 숙소를 추천했다. 영국 코츠월드의 럭셔리 별장은 고즈넉한 분위기 속에서 로맨틱한 휴식을 원하는 커플 여행객에게 제격이다. 이탈리아 리오마조레의 오션뷰 아파트는 혼자 여행하며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하며 사색을 즐기기에 이상적이다. 스코틀랜드 하일랜드의 아늑한 오두막은 친구들과 프라이빗한 시간을 보내며 우정을 다지기에 완벽하다.국내에서는 제주도의 프라이빗 온수풀을 갖춘 독채 숙소가 커플 여행객들에게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강원도 영월의 계곡 뷰 숙소는 혼자 여행하며 자연 속에서 힐링을 원하는 이들에게 안성맞춤이다.이번 발렌타인데이에는 어떤 여행을 떠나볼까? 혼자든,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든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