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사회/복지

"유튜버 말 믿는다"... 탄핵 반대 집회 참가자들의 '민낯'

 '12.3 내란 사태' 이후 한국 사회를 뒤흔든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 찬성과 반대 집회의 양상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특히 탄핵 반대 집회의 독특한 풍경은 현대 한국 사회의 단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탄핵 반대 집회의 가장 큰 특징은 참가자들의 다양한 구성이다. 특히 20~30대 젊은 남성들의 높은 참여율이 눈에 띄며, 이들은 주로 중국과 페미니즘에 대한 반감을 핵심 논리로 내세운다. "중국이 부정선거의 배후"라거나 "페미들의 탄핵 찬성에 맞서야 한다"는 식의 주장이 집회 현장을 지배하고 있다.

 

집회 현장의 상징물도 흥미롭다. 태극기와 성조기가 나란히 펄럭이는가 하면, 이스라엘 국기와 십자가까지 등장하는 기이한 광경이 연출된다. 특히 개신교 색채가 강하게 드러나, 구호를 외칠 때마다 "할렐루야"나 "아멘"으로 화답하는 모습이 자주 목격된다.

 

참가자들의 주장은 대부분 유튜브를 통해 얻은 정보에 기반을 두고 있다. 국가 기관의 공식 발표나 법원의 판결보다 유튜버들의 주장을 더 신뢰하는 경향이 강하며, 이는 '종북 좌파 반국가 세력'이라는 음모론으로 이어진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신남성연대'와 같은 청년 남성 단체들의 적극적인 참여다. 이들은 탄핵 반대 운동의 '돌격대' 역할을 자처하며, 최근 '1.19 서부지법 폭동'에서 보듯 과격한 행동도 마다하지 않는다.

 

더욱 우려되는 것은 참가자들의 맹목적인 믿음과 극단적인 적개심이다. 대부분이 정치, 사회, 역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강한 확신을 가지고 있다. 심지어 비례대표제도의 기본 개념조차 모르는 이들이 정치적 주장을 펼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 사회의 심각한 분열과 정보 편식 문제를 드러낸다. 유튜브라는 제한된 정보 창구를 통해 형성된 편향된 시각이, 결국 사회적 갈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악순환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

 

700만원 NBA 직관 여행? 없어서 못 가요… '취향 저격' 테마여행, 젊은 지갑 연다

호하는 MZ세대를 사로잡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는 중이다.특히 최근 전 세계적으로 러닝 열풍이 불면서 해외 마라톤 대회에 참가하고 여행까지 즐기는 '런트립(Run+Trip)' 상품이 인기다. 하나투어, 교원투어 등 주요 여행사들은 사이판, 오사카 등 인기 여행지에서 열리는 마라톤 대회 참가권을 패키지에 포함시켜 러너들의 마음을 설레게 하고 있다.단순히 여행지만 찍고 오는 것이 아니라, 좋아하는 스포츠를 즐기고 여행의 즐거움까지 만끽할 수 있다는 점이 젊은층의 취향을 제대로 저격했다. 실제로 하나투어의 '2025 오사카 마라톤 4일' 상품은 출시되자마자 완판되는 기록을 세웠다.스포츠를 넘어 '덕질'까지 여행의 영역으로 끌어온 사례도 있다. 모두투어가 야심 차게 내놓은 'NBA 직관 컨셉투어'는 700만원이 넘는 고가에도 불구하고 30분 만에 완판되는 기염을 토했다. NBA 스타 플레이어들의 경기를 직접 관람하고, 전문가 해설까지 곁들여진 이 상품은 농구 팬들에게 꿈같은 경험을 선사하며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특히 예약자의 90%가 MZ세대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여행의 동반자로 '최애'를 선택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여기어때의 '버킷팩'은 좋아하는 셀럽과 함께 여행을 떠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 방송인 유병재, 노홍철, 유튜버 원지, 빠니보틀 등 인기 셀럽들이 직접 기획하고 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는 이 상품은 그 자체로 팬들에게 '버킷리스트'가 된다.물론 테마 여행 상품은 소규모 인원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일반 패키지 상품보다 수익성이 낮다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여행업계는 젊은층의 수요를 확보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판단, 다양한 테마 여행 상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획일적인 패키지 여행에서 벗어나 개인의 취향과 관심사를 만족시키는 테마 여행 상품의 인기는 앞으로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