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최신

경제최신

코로나보다 더 무서운 '내수 대재앙'... 하루 평균 933명이 자영업 포기

 내수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한국 경제의 중추를 담당해온 자영업자 수가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되었다. 이는 단순한 경기 순환이 아닌 구조적 위기의 신호탄으로 해석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월 자영업자 수는 550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엔데믹을 앞둔 2023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이 수치가 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590만명)과 1998년(561만명),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8년(600만명)과 2009년(574만명)보다도 낮다는 점이다. 즉, 현재의 자영업 위기는 한국 경제가 겪었던 두 차례의 대형 경제위기보다 더 심각한 상황에 직면했음을 시사한다.

 

자영업자 수는 2009년 이후 500만명대로 줄어들었으나, 그동안은 560만~570만명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왔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에는 550만명대로 감소했고, 엔데믹 직전인 2023년 1월에는 549만명까지 떨어졌다가 이후 회복세를 보였다. 그러나 이 회복세는 오래가지 못했다. 2025년 1월 자영업자 수는 작년 11월 570만여명에서 20만명 이상 급감하며 다시 550만명 선으로 추락했다.

 

통계청은 이러한 급격한 감소세에 대해 "겨울철에는 농사를 쉬는 농림어업인이 자영업자 통계에 포함되어 감소 폭이 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계절적 요인을 제외하더라도, 지난 1월 자영업자는 작년 1월보다 2만8000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회복세를 보이던 2021년 이후 처음으로 나타난 감소세다.

 

통계청 관계자는 "작년 동기와 비교해 1월 자영업자 수가 2021년 이후 처음으로 줄어든 것은 도소매 업계의 지속적인 불황과 함께 숙박, 음식점업 자영업자의 증가세가 둔화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는 소비 심리 위축과 물가 상승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자영업자 감소의 주된 원인으로 내수 부진과 경기 침체의 장기화를 지목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소비 패턴과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인해 전통적인 자영업 모델이 위협받고 있다는 분석이다.

 


현장의 목소리는 더욱 절박하다. 부천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정모씨는 "코로나 때부터 꾸역꾸역 버티던 점주들이 두 손 들고 장사를 접고 있다"며 "배달앱 수수료와 배달비 부담이 커진 데다 물가가 많이 올라 원재료비 부담이 늘어난 것이 경영난의 주요 원인"이라고 토로했다. 그의 말처럼 많은 자영업자들이 코로나19 기간 동안 누적된 부채와 급격한 비용 상승으로 인해 폐업을 선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최근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는 이러한 현실을 더욱 명확히 보여준다. 자영업자들은 가장 큰 경영 부담으로 원자재·재료비(22.2%), 인건비(21.2%), 임차료(18.7%), 대출 상환 원리금(14.2%) 순으로 꼽았다. 특히 응답자들은 작년 순이익이 전년 대비 평균 13.3%나 감소했다고 답했으며, 전체 응답자의 72.0%가 순이익 감소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자영업 위기는 단순히 특정 업종의 문제가 아닌 한국 경제 전반의 내수 침체를 반영하는 것으로,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자영업자들은 세제 혜택 확대, 임대료 안정화 정책, 온라인 플랫폼 수수료 규제 등 실질적인 지원책을 요구하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자영업 위기가 고용 불안과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경제 전반의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내수 활성화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작지만 큰 행복, 소도시 여행 어때요?

한적한 여행지를 찾는 이들이 늘어나는 추세다. 소도시 여행은 단순히 관광 명소를 둘러보는 것을 넘어, 그 지역의 문화와 삶에 깊이 스며들어 진정한 '쉼'을 경험하게 한다.소도시 여행의 가장 큰 매력은 바로 '느림의 미학'이다. 빡빡한 일정에 쫓기는 대신, 골목길을 따라 여유롭게 산책하고, 오래된 가게에 들러 현지인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그 지역의 분위기를 오롯이 느낄 수 있다. 기차역 앞 허름한 분식집에서 맛보는 옛날 떡볶이, 동네 할머니들이 직접 운영하는 작은 시장, SNS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숨겨진 명소들은 대도시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추억을 선사한다.근대 역사의 흔적을 간직한 전북 군산은 시간 여행을 떠나기 좋은 도시다. 옛 일본식 가옥들이 줄지어 있는 신흥동 골목길을 걸으며 아늑한 분위기를 만끽할 수 있으며, 80년 전통의 빵집 이성당에서 갓 구운 빵을 맛보는 것은 군산 여행의 필수 코스다. 근대문화역사박물관에서는 군산의 역사와 문화를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푸른 바다와 감성적인 분위기가 매력적인 강원 강릉 주문진은 젊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있는 여행지다. 싱싱한 해산물을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주문진항은 물론, 아기자기한 소품 가게와 분위기 좋은 카페들이 즐비한 영동지역 최대 어시장으로 활기를 더한다. 바다를 바라보며 커피 한 잔의 여유를 즐길 수 있는 해변가 카페들은 낭만적인 분위기를 더한다.전통과 현대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경북 안동은 한국의 전통문화를 체험하고 싶은 이들에게 안성맞춤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하회마을과 도산서원에서는 한국의 전통 건축과 역사를 느낄 수 있다. 매콤한 안동찜닭과 고소한 간고등어는 안동을 대표하는 먹거리이며, 한옥 게스트하우스에서 하룻밤을 보내며 특별한 추억을 만들 수 있다.백제의 고도 공주는 역사 애호가들에게 매력적인 여행지다. 웅장한 공산성과 신비로운 분위기의 무령왕릉은 백제 시대의 숨결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금강을 따라 조성된 산책로를 걸으며 아름다운 자연을 만끽할 수 있으며, 공주밤으로 만든 달콤한 밤빵은 빼놓을 수 없는 지역 특산품이다.전남 나주는 느림의 미학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조선시대 나주의 행정의 중심지였던 나주읍성과 옛 정취가 남아있는 골목길을 걸으며 과거로 시간 여행을 떠나보자. 나주곰탕은 깊고 진한 국물 맛으로 유명하며, 영산강 자전거길을 따라 자전거 여행을 즐길 수도 있다.아름다운 바다와 예술의 도시 경남 통영은 낭만적인 여행을 원하는 이들에게 제격이다. 알록달록한 벽화로 가득한 동피랑 벽화마을은 사진 찍기 좋은 명소이며, 통영 케이블카를 타고 미륵산 정상에 오르면 한려수도의 절경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신선한 해산물을 맛볼 수 있는 통영 중앙시장 또한 빼놓을 수 없는 코스다.소도시 여행은 단순히 낯선 곳을 방문하는 것이 아니라, 그곳의 삶 속으로 들어가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진정한 '쉼'을 찾고 싶다면, 이번 여행지는 작지만 매력 넘치는 소도시로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