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저트 배 아닌 디저트 뇌의 유혹

연구진은 배고픔과 포만감을 조절하는 시상하부의 POMC 뉴런이 이 현상의 중심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POMC 뉴런은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동시에, 단 음식을 갈망하도록 유도하는 이중 역할을 한다. 뉴런이 활성화되면 쾌감을 유발하는 베타 엔도르핀이 분비되는데, 이는 충분히 먹은 후에도 디저트를 찾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헤닝 펜젤라우 박사는 “설탕은 자연에서 희귀하지만 즉각적인 에너지원으로, 인간의 뇌는 설탕 섭취를 최대화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결국, 배부름과 상관없이 단 음식을 찾는 것은 진화론적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현상이다. 특히 눈앞에 과자나 디저트가 있을 때 POMC 뉴런의 활성화가 더욱 활발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부른 상태에서 디저트를 섭취하면 혈당 스파이크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디저트 욕구를 억누르기보다는 건강한 선택으로 대체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크 초콜릿 한 조각, 신선한 베리류, 혹은 플레인 요거트에 과일을 곁들여 보자. 이는 달콤함을 충족시키면서도 건강을 해치지 않는 방법이다. 또한, 껌을 씹는 것도 좋은 대안이다. 껌을 씹는 행동은 식욕 조절 호르몬을 자극해 포만감을 느끼게 하고 디저트에 대한 욕구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만약 디저트를 포기하기 어렵다면, 아이스크림 한 스쿱이나 작은 디저트를 천천히 음미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천천히 먹으면 뇌가 만족감을 더 빨리 인식해 과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직접 건강한 디저트를 만들어보는 것도 추천한다. 설탕 대신 과일과 견과류를 활용하면 단맛을 느끼면서도 건강에 이로운 디저트를 즐길 수 있다.
‘디저트 배’는 사실 뇌의 작용에서 비롯된 현상이다. 배부름에도 단 음식이 당기는 것은 자연스러운 반응이지만, 이를 건강하게 다스리는 것이 중요하다. 작은 습관의 변화로 뇌의 유혹을 현명하게 극복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