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국왕만 맛볼 수 있었던 '궁중다과', 일반인에 공개된다!

생과방(生果房)은 조선시대 궁중에서 왕과 왕실 가족들을 위한 별식과 다과를 준비하던 공간으로, 왕실 식문화의 정수를 담당했던 곳이다. 이번 행사는 현대인들에게 그 고품격 궁중 음식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조선 왕실의 정통 다과를 맛볼 수 있다. 제공되는 다과는 총 6종으로, 참가자들은 주악세트 또는 곶감오림 세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주악은 쌀가루 반죽을 기름에 지져 꿀에 버무린 전통 한과로, 그 달콤한 맛이 일품이다. 곶감오림은 말린 감을 활용한 고급 다과로, 조선시대 왕실에서도 즐겨 먹던 별미다.
다과와 함께 1종의 궁중약차도 제공된다. 궁중약차는 단순한 음료를 넘어 약효가 있는 재료들을 사용해 건강까지 고려한 조선 왕실의 지혜가 담긴 음료다. 오랜 세월 전해 내려온 비법으로 만들어진 이 차는 현대인의 입맛에도 잘 맞을 뿐 아니라, 건강에도 좋은 효능을 지니고 있다.
이번 '경복궁 생과방' 행사의 특별한 점은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취약종목 이수자들의 공예 작품을 활용한 다과상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승취약종목이란 계승자가 적어 사라질 위기에 처한 중요한 무형문화재를 의미한다. 이번 행사를 통해 이러한 귀중한 전통 공예를 알리고 보존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 있다.

행사에 참여하는 공예 작품으로는 매듭장 박형민 이수자가 정성껏 제작한 궁중약차 차패 매듭장식이 있다. 매듭장은 끈이나 실로 다양한 매듭을 짓는 전통 공예로, 이번에 선보이는 차패 매듭장식은 궁중의 품격을 한층 높여줄 것이다.
또한 한산모시짜기 김선희 이수자의 찻잔받침도 만나볼 수 있다. 한산모시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 지역의 대표적인 전통 직물로, 그 섬세함과 투명한 아름다움이 특징이다. 모시로 만든 찻잔받침은 은은한 품격을 더해줄 전망이다.
두석장 박병용 이수자가 만든 다과꽂이도 이번 행사의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두석장은 놋쇠나 구리 등의 금속으로 장식품을 만드는 전통 기술로, 정교한 솜씨가 요구되는 공예다. 이러한 고급 공예품들이 어우러진 다과상은 조선 왕실의 품격 높은 식문화를 더욱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게 해준다.
'경복궁 생과방' 행사는 단순한 음식 체험을 넘어 우리 전통문화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총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다. 봄과 초여름의 아름다운 경복궁 풍경과 함께 조선 왕실의 다과를 즐기며, 사라져가는 전통 공예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뜻깊은 시간이 될 것이다.
국가유산청은 이번 행사를 통해 우리 전통 식문화와 공예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전승취약종목의 보존과 계승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경복궁의 아름다운 봄 풍경과 함께 왕실의 품격 있는 다과를 즐기고 싶은 분들에게 이번 '경복궁 생과방' 행사는 놓칠 수 없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