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최신

경제최신

역대급 실적 찍은 LG전자, B2B·구독 사업 폭풍 성장

 LG전자가 2025년 1분기 매출액 22조 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소폭 감소했지만 시장 전망치에는 부합했다. 기업간거래(B2B)와 가전 구독 사업의 성장세가 주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LG전자는 7일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잠정 실적으로 매출 22조 7447억 원, 영업이익 1조 2590억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년 동기(21조 959억 원) 대비 매출은 7.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1조 3352억 원)보다 5.7% 감소했다. 이는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예상한 매출 22조 668억 원, 영업이익 1조 2593억 원과 거의 일치하는 수준이다.  

 

LG전자의 1분기 매출이 22조 원을 넘은 것은 창사 이래 처음이다. 회사 측은 경기침체 등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기존 주력 사업의 안정적 성장과 함께 B2B, 구독, 웹(web)OS 등 비하드웨어(Non-HW), 소비자직접거래(D2C) 등 새로운 수익 모델이 매출 증가를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수익성 역시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LG전자의 영업이익은 6년 연속 1조 원을 상회하며 견고한 흐름을 이어갔다. 회사 관계자는 "수익성이 높은 사업 부문의 매출 비중이 확대되면서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발생했다"며 "자원 투입의 효율화, 원자재 및 물류비용 안정화, 글로벌 생산지 운영의 유연성 확보 등이 수익성 유지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LG전자는 이번 실적 발표에서 사업 부문별 실적을 따로 공개하지 않았지만, 지난해 부담이 됐던 해상 물류비 부담이 완화된 점, 프리미엄 가전제품과 냉난방공조(HVAC) 사업의 실적 개선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B2B 사업의 핵심으로 자리 잡은 냉난방공조(HVAC) 사업은 지난해 같은 기간(매출 2조 5890억 원, 영업이익 3356억 원)을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LG전자는 기후, 건축 방식, 주거 형태 등에 맞춘 특화 솔루션을 통해 싱가포르 등에서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등 상업용 공조 시스템 사업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또한, 데이터센터 및 발전 시설용 초대형 냉방기(칠러)를 활용한 사업 확장에도 속도를 내면서 관련 실적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정용 냉난방공조 부문에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신제품을 적극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HVAC 사업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LG전자는 지난해 조직 개편을 통해 관련 사업을 담당하는 ES사업본부를 H&A사업본부에서 분리·신설했다.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는 지난 3월 마이크로소프트(MS) 사티아 나델라 회장과 만나 MS 데이터센터에 냉각 솔루션을 제공하기로 합의하는 등 글로벌 대형 거래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다.  

 

 

 

생활가전 부문에서는 B2C 주력 제품의 프리미엄 시장 점유율이 확대되었으며, 빌트인 가전과 모터·컴프레서 등 부품 판매도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 신흥 시장에서 프리미엄 가전 판매량이 급증한 점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가전 구독 사업 역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구독 서비스 매출은 2조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75% 증가했다. 현재 LG전자 가전 매출의 20% 이상이 구독 모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올해는 해외 시장 공략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말레이시아에서 구독 서비스 명칭을 ‘렌털(Rent-up)’에서 ‘구독(Subscribe)’으로 변경했으며, 서비스 지역도 태국·말레이시아·대만에서 인도·싱가포르·홍콩 등으로 확대하고 있다.  

 

LG전자는 수익성 강화를 위해 B2B와 구독 사업뿐만 아니라, 웹OS 기반 콘텐츠·광고 사업 등 비하드웨어 부문도 적극적으로 키우고 있다. 올해부터는 TV, IT(노트북·모니터), ID(상업용 디스플레이) 등 디스플레이 기반 사업을 통합 운영하면서, TV 중심이었던 웹OS 기반 광고·콘텐츠 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전장(자동차 전자장비) 사업에서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제품을 확대하고, 차량용 콘텐츠 플랫폼 사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잠정 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른 예상치로, LG전자는 이달 말 실적설명회를 통해 2025년 1분기 연결기준 순이익과 사업본부별 경영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아이 손 잡고 동화 속으로 풍덩!"... 부산 영화의전당, 어린이날 '마법의 문' 연다

시 '매직월드'를 비프힐 1층 미래극장에서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전시는 동화 속 마법과 판타지를 현대미술로 재해석한 독특한 컨셉으로, 어린이들에게 예술적 영감과 창의력을 선사할 예정이다.'매직월드'는 2018년 첫 선을 보인 이후 매년 새로운 주제와 콘텐츠로 관람객들을 맞이하며 꾸준한 사랑을 받아온 전시다. 특히 현대미술을 어린이들이 쉽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창의적인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풀어내는 점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올해 전시는 기존보다 콘텐츠를 한층 강화하고 몰입형 체험 요소를 대폭 확대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이번 '매직월드'는 기획감독 조성호 대표가 이끄는 상상공작소와 함께 12명의 국내 현대미술 작가들이 참여해 완성도를 높였다. 각 작가들은 자신만의 독창적인 조형 언어로 마법과 판타지 세계를 표현했다. 단순히 보는 전시가 아닌, 아이들이 직접 만지고, 듣고, 느끼며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전시 곳곳에 마련되어 있어 오감을 자극하는 예술 체험이 가능하다.전시장은 마치 동화 속 세계에 들어온 듯한 환상적인 분위기로 꾸며진다. 형형색색의 조명과 미디어아트, 입체 설치물 등이 어우러져 방문객들에게 색다른 시각적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특히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체험형 전시물들은 예술 작품과 직접 상호작용하며 놀이처럼 예술을 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고인범 영화의전당 대표는 "매직월드 전시는 '아이가 살기 좋은 도시, 부산'을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획된 것"이라며 "영화의전당은 앞으로도 아이와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 콘텐츠를 지속해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는 부산시가 추진하는 가족 친화적 문화도시 조성 정책과도 맞닿아 있어 의미가 크다.전시는 만 3세 이상부터 관람이 가능하며, 티켓은 네이버, 쿠팡, 인터파크 등 주요 예매사이트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특히 가족 단위 관람객들을 위한 할인 혜택도 마련되어 있어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평일보다는 주말과 공휴일에 관람객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여유로운 관람을 위해서는 사전 예매가 권장된다.개막일인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특별 이벤트도 준비되어 있다. 상상공작소 공식 인스타그램 채널에서는 '오픈 기념 전시 무료초청'을 비롯한 다양한 이벤트가 진행된다. 당첨자에게는 전시 무료 관람 기회와 함께 특별 제작된 아트 굿즈도 증정할 예정이다. 자세한 이벤트 참여 방법과 당첨자 발표 일정은 상상공작소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다.영화의전당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단순한 볼거리를 넘어 아이들이 예술을 통해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적 가치도 담고 있다"며 "어린이날을 맞아 가족과 함께 특별한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매직월드' 전시는 5월 5일 개막 이후 약 3개월간 진행될 예정이며, 부산을 넘어 전국 각지에서 많은 가족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