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Global

美 소비자들 ‘아이폰 사재기’ 시작.."아이폰 30% 가격 인상 전망"

미국의 새 관세 정책 시행을 앞두고 아이폰 가격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미국 전역의 애플스토어가 사재기 현상으로 북적이고 있다. 현지시간 7일 오후, 캘리포니아주 에머리빌의 애플스토어에는 30여 명의 고객이 아이폰을 비롯한 제품을 둘러보며 구매를 고려하는 모습이었다. 매장 직원들은 월요일 치고 유난히 붐빈다며, 최근 며칠간 고객이 크게 증가했다고 전했다.

 

버클리 거주자인 잭 스틸(37)은 퇴근길에 애플스토어를 방문해 최근 출시된 보급형 모델 아이폰16e를 구매했다. 그는 "아이폰 가격이 인상될 수 있다는 소문이 있어 고민하다가 더 오르기 전에 사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매장 직원들도 가격 인상 여부에 대한 질문을 자주 받지만 공식적인 통보는 없었다고 밝혔다. 다만 직원들은 "구매를 고민하는 고객들에게 지금 사는 것이 좋다고 조언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블룸버그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행정부의 새로운 관세 정책으로 애플 주가가 급락했지만, 단기적으로는 소비자들이 가격 인상을 우려해 아이폰을 대량 구매하면서 예상치 못한 판매 증가 효과를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5일부터 6일까지의 주말 동안 미국 전역의 애플스토어는 연말 쇼핑 시즌을 방불케 할 정도로 고객들로 붐볐다. 실제로 이틀간의 매출이 예년 같은 시기보다 크게 증가했다.

 

이 같은 현상은 9일부터 시행되는 미국 정부의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로 인해 아이폰 가격이 인상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촉발됐다. 현재 아이폰의 약 90%가 중국에서 생산되는데, 새 정책에 따라 미국으로 수입되는 중국산 제품에는 54%의 관세가 부과된다. 이로 인해 애플이 일부 비용을 소비자 가격에 전가할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다.

 

 

 

스위스 은행 UBS의 애널리스트들은 최고급 모델인 아이폰16 프로맥스의 미국 내 가격이 최대 350달러(약 51만 원)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1,199달러인 이 제품의 가격이 30% 이상 오를 수 있다는 의미다. 월스트리트 로젠블랫 증권 역시 미국 내 아이폰 가격이 30~40% 상승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가격 인상이 예상된다. JP모건체이스의 애널리스트들은 애플이 미국 관세 부담을 상쇄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아이폰 가격을 평균 6%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도 아이폰16 기본형의 최저 가격이 125만 원에서 132만5,000원으로 오를 가능성이 크다.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 속에서 애플의 주가도 연일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애플 주가는 3.67% 하락하며 사흘 동안 19% 급락했다. 블룸버그는 "닷컴 버블 붕괴 이후 최악의 3거래일 하락세"라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애플의 시가총액은 사흘간 6,380억 달러(약 938조6,890억 원)가 증발했다. 이는 삼성전자 시총(약 315조 원)의 약 3배에 달하는 규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애플이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아이폰 생산을 중국에서 인도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인도에서 생산된 제품에는 중국보다 낮은 26%의 관세가 부과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애플이 인도에서 생산된 모든 아이폰을 미국으로 들여온다 해도 미국 시장 수요의 절반 정도밖에 충족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로 인해 당분간 아이폰 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Z세대가 한국 대신 방콕으로 대탈출하는 충격적인 이유?

문조사 결과, 1997~2012년생 응답자들이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방콕을 꼽았다.이번 조사는 음식, 밤문화, 물가, 행복도, 삶의 질, 전반적인 도시 분위기 등 다양한 항목을 기준으로 진행되었다. 방콕은 특히 행복도와 물가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Z세대 응답자의 84%가 방콕에서의 삶이 행복하다고 응답했으며, 71%는 생활비가 저렴하다고 답했다.데이터베이스 사이트 '넘베오(Numbeo)'에 따르면, 방콕의 1인 한 달 생활비(임대료 제외)는 약 2만141태국바트(약 86만1027원)로, 미국 평균 생활비보다 45.9% 낮은 수준이다. 임대료 역시 미국 평균보다 68.8%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제적 이점이 Z세대에게 큰 매력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2위를 차지한 호주 멜버른은 다양성과 포용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Z세대 응답자의 77%가 멜버른을 다양성과 포용성을 갖춘 도시라고 평가했으며, 96%는 멜버른의 예술과 문화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 삶의 질 측면에서도 Z세대 응답자의 91%가 '좋다' 또는 '놀랍다'고 응답했다.멜버른의 1인 한 달 생활비는 1703호주달러(약 154만원) 수준으로, 임대료를 제외한 생활비는 뉴욕보다 32.9% 저렴하고 임대료는 61.3%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제적 이점과 함께 문화적 다양성이 멜버른의 높은 순위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상위 10위 안에 든 다른 도시들로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3위), 미국 뉴욕(4위), 덴마크 코펜하겐(5위), 스페인 바르셀로나(6위), 영국 에든버러(7위), 멕시코 멕시코시티(8위), 영국 런던(9위), 중국 상하이(10위)가 있다.이번 조사 결과는 Z세대가 도시를 선택할 때 단순한 경제적 요인뿐만 아니라 삶의 질, 문화적 다양성, 포용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상위권에 오른 도시들은 대체로 생활비가 합리적이면서도 문화적 경험이 풍부한 곳들이라는 공통점이 있다.방콕과 멜버른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Z세대는 경제적 부담이 적으면서도 삶의 질과 행복도가 높은 도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급격한 물가 상승과 주거비 부담이 커지는 글로벌 트렌드 속에서 Z세대가 실질적인 삶의 만족도를 중요시한다는 점을 시사한다.